AMATEUR RULES GUIDE
제 1 조 대회 공식 명칭 및 개요
제 2 조 체급 및 레벨 분리
제 3 조 메디컬 체크
제 4 조 경기장비
제 5 조 경기 운영 및 시간
제 6 조 복장/유니폼
경기복장은 대회사가 지정한 범위 내에서 착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반한 선수 및 팀은 해당 유니폼 및 경기복장을 착용할 수 없다.
제 7 조 구두경고/감점/실격
제 8 조 실격패 / 경기무효
경기 룰
(21) 라운드 종료를 알리는 공이 울린 이후의 공격
(22) 선수가 주심의 지시를 고의적으로 어기는 행위.
(23) 선수가 부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거짓으로 부상을 주장하는 행위.
(24) 선수가 마우스피스를 일부러 뱉는 등 경기 진행을 의도적으로 지연, 방해하는 행위.
(25) 전체적인 경기진행을 해당 선수의 세컨드가 방해하고 있다고 주심이 판단한 경우.
(26) 상대선수를 의도적으로 상대를 장외로 던지는 행위.
(27) 장외로 일부러 도망가는 행위는 자동 기권으로 간주
(28) 선수가 경기도중 자의에 의해 경기를 중단시킨 경우는 자동기권으로 간주한다.
(29) 선수가 무기력한 공격에만 의존하고, 고의적인 고착상태를 유발하는 행위
(30) 상대 선수 글러브에 손가락을 걸고 당기는 행위
(31) 고의로 케이지를 잡고 놓지 않거나 고의로 케이지에 손, 발을 거는 행위
- 상위 포지션의 공격자가 케이지를 잡았을 경우 경고 혹은 감점 후 양 선수 일어서서 다시 시작한다.
- 하위 포지션의 공격자가 케이지를 잡았을 경우 경고 혹은 감점 후 같은 포지션에서 다시 시작한다.
(2) 선수가 상대방의 정당한 공격을 받고 부상을 입은 경우, 닥터가 부상 선수의 경기진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주심은 경기를 중단하고 해당 선수가 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3) 부상이 상대방의 반칙에 의한 것일 경우, 주심은 반칙을 한 선수에게 반칙패를 선언한다.
(4) 닥터 스톱 상황이 발생될 경우, 주심 또는 부심은 해당 선수의 코치를 중립 코너로 초청, 상황을 확인시키고 그 결과를 통보한다.
(5) 경기진행 도중 한쪽 선수의 세컨드가 타월을 케이지에 투척하여 시합을 중지시킨 경우, 주심은 즉각 경기를 중지하고 상대 선수에게 승리를 선언해야 하며, 주심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 부심이 경기중지 및 종료를 대행한다.
기권승 Give Up
(1) 선수 본인이 경기 전 또는 도중에 경기의 시작, 계속적인 진행과 그 속개를 포기한 경우, 주심은 상대선수에게 기권승을 선언한다.
판정승
(1) 모든 경기에서 배심은 3심제로 한다.
(2) 판정방식은 10포인트 머스트 시스템(10-point must system)으로 적용된다.
(3) 점수는 각 라운드 10:9, 9:10 으로 표기한다. 라운드의 전체적인 경기가(타격, 그래플링, 케이지 파이팅 등 모든 공격형태) 일방적일 경우 10:8, 8:10으로 판정할 수 있다.
(4) 선수 공격에 의해 승부 결정이 나지 않은 경우에는 배심의 판정으로 최종 승부를 결정한다.
(5) 배심판정은 3명의 배심이 대회 공식 배심기록지에 기록한 점수를 근거로 승, 혹은 무승부를 판정하는 것을 뜻한다.
(6) 2명 이상의 배심으로부터 승리판정을 획득한 경우에만 판정승이 성립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무승부로 판정한다.
(7) 매치메이킹 경기에서 사전에 대회사가 허가하고, 양 선수 합의가 있는 경우, 배심의 판정이 최종적으로 무승부일 때 1회의 연장라운드 후 재판정을 할 수도 있다.
(8) 판정승을 결정하는 방법은 라운드 별 우세가 아닌 3명의 배심이 각각 기록한 각 라운드의 점수를 총 합산하여 나온 최종 합계 점수로 승리 선수를 결정한다.
배심 판정의 결정요인
타격, 그라운드 모든 요소를 갖춘 MMA 경기이니 만큼 공격의 한 부분만을 따져 우세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라운드 전체적인 부분을 보고 판정한다.
판정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와 그 중요도는 아래의 각 호 순서와 같다.
(1) 타격, 그라운드에서 타격(파운딩)
- 반칙 사항에 위배되지 않는 펀치, 킥, 파운딩 등 정확한 타격으로 데미지를 줄 수 있는 모든 공격
- 라운드의 승부를 결정지을 수 있었다고 판단되는 공격
- 데미지를 주지 못한 공격은 승부를 결정짓는 요인이라 볼 수 없다.
- 다운은 라운드의 우세를 결정짓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단순히 데미지를 주는데 그친 공격인지 라운드 우세를 결정지을 만한 중대한 공격인지는 각 배심이 판단한다.
(2) 테이크 다운 & 포지션 점유
- 테이크 다운은 상대방을 케이지 바닥에 확실히 눕히고 공격적인 형태를 가져야지만 인정된다.
- 테이크 다운을 시도했으나 상대방 선수가 지속적인 방어시도를 해 완벽히 눕히지 못하고 공격적인 태세 또한 취할 수 없을 땐 인정되지 않는다.
- 테이크 다운을 했으나 상대방의 등이 케이지에 기대어져 하체(힙)만 다운된 상태일 때도 적극적인 공방을 해야한다.
- 포지션 점유는 상위 포지션에 있는 선수가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를 판단한다.
(3) 서브미션 & 스윕
- 서브미션은 라운드의 우세를 결정지을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단순히 데미지를 주는데 그친 공격인지 라운드 우세를 결정지을 만한 중대한 공격인지는 각 배심이 판단한다.
- 서브미션 상황이 나올 경우 주심은 “캐치”라고 말한다.
- 본 대회에서의 스윕이란 하위 포지션 선수가 상위 포지션 선수를 뒤집어 유리한 포지션으로 역전해내는 것을 말한다.
(4) 어그레시브는 상대방을 KO시키거나 항복을 받아내기 위해 경기에 적극적으로 임한 선수에게 적용된다.
- 각 라운드를 리드하고 케이지 중앙 점유율을 높이며 우세한 공격을 이끈 선수에게 어그레시브를 적용한다.
- 양 선수에게 적용시킬 수 있다.
케이지에서의 공격 및 공방
(1) 타격 및 그라운드 공방에서 효과 및 유효성이 한 선수의 우세함을 평가하지 못하고 비숫한 데미지와 유효성으로 라운드를 마칠 때 케이지에서의 적극성과 공격성 등을 종합하여 우세를 평가할 수 있다.
경기 중 스탠딩 타이밍
(1) 양 선수가 그라운드에서 경기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휴식을 취한다던지 데미지가 느껴지지 않는 무의미한 공격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 심판 판단에 의해 그라운드가 진행된 시간 그리고 포지션의 유리함과 상관없이 바로 일으켜 세울 수 있다.
(2) 만약 유효 포지션이나 서브미션 그립이 걸려있는 상태라 할지라도 유효한 동작이나 경기를 끝내지 못하고 포지션만 유지할 경우 심판은 상황의 유리함을 떠나 양 선수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심판의 권위는 절대적이며 본 대회의 원활환 진행을 위해 선수 및 코치진은 룰에 의거한 심판진의 지시사항 및 전달사항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따라줄 것을 명시하는 바이다.
본 룰은 심판위원회와 대회사의 합의에 따라 개정될 수 있다.
Copyright ⓒ 2024. ZFN Co., Ltd. All Rights Reserved.